본문 바로가기
잡동

2025년 연말정산 주요 공제 금액

by 기린파파 2025. 1. 17.
반응형

연말이 다가오면서 많은 직장인들이 연말정산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.

2025년 연말정산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?

그리고 어떻게 하면 더 많은 환급을 받을 수 있을까요?

이번 블로그에서는 연말정산의 주요 공제 금액 달라진 사항, 절세 팁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2025년 연말정산 주요 공제 금액

1. 결혼 세액공제

  • 공제 금액: 결혼한 부부에게 한 번만 50만 원씩, 최대 100만 원까지 세액공제.
  • 적용 기준: 혼인신고 후 결혼한 당해 연도에만 해당.

2. 자녀 세액공제

  • 첫째 자녀: 30만 원
  • 둘째 자녀: 35만 원
  • 셋째 자녀 이상: 각 30만 원씩 추가 공제
  • 적용 기준: 만 18세 이하 자녀 대상.

3. 출산·보육수당 비과세 한도

  • 공제 금액: 월 20만 원 (2025년부터)
  • 적용 기준: 기업에서 지급하는 출산 및 6세 이하 자녀 보육수당.

4. 의료비 세액공제

  • 공제 금액:
    • 본인, 배우자, 부양가족에 대해 지출한 의료비의 15%를 공제.
    • 산후조리원 비용: 200만 원 한도 내 공제 가능.
    • 장애인 활동 지원 급여: 본인 부담금 공제.
  • 적용 기준: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소득자에 대해 확대된 공제 혜택 적용.

5. 주택 관련 공제

  •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 상환액 소득공제:
    • 공제 한도: 최대 2,000만 원.
    • 적용 기준: 주택자금 상환액에 대해 공제.
  • 월세액 세액공제:
    • 공제 한도: 1,000만 원.
    • 적용 기준: 무주택 세대주 및 성실사업자에 대해 확대.
  •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:
    • 공제 한도: 300만 원.
    • 적용 기준: 주택청약저축 납입액.

6. 신용카드 소득공제

  • 공제 금액:
    • 전년 대비 사용 금액 증가분에 대해 10% 공제.
    • 공제 한도: 최대 100만 원.
    • 적용 기준: 신용카드, 직불카드, 현금영수증 등.

7. 기부금 세액공제

  • 공제 금액:
    • 기부금 1천만 원 이하: 15% 공제
    • 기부금 1천만 원 초과: 30% 공제
    • 기부금 3천만 원 초과: 40% 공제
  • 적용 기준: 기부금 규모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집니다.

8. 기타 공제 항목

  • 소득세 공제 한도:
    • 연금보험료: 연 500만 원 한도 (개인연금, 퇴직연금, 국민연금 등).
    • 배우자 공제: 배우자의 연간 소득이 100만 원 이하인 경우, 150만 원 공제.
    • 부양가족 공제:
      • 부양가족 1명당 150만 원 공제.
      • 장애인이거나 65세 이상인 부모는 추가 공제.
  • 교육비 공제:
    • 초중고 교육비는 40만 원 한도.
    • 대학교 교육비는 100만 원 한도.
    • 대학원은 200만 원까지 공제 가능.

9. 다자녀 세액공제

  • 공제 금액:
    • 셋째 자녀 이상에 대해 추가적인 세액공제가 제공됩니다. 공제 금액은 각 자녀당 30만 원씩 추가 공제됩니다.

정리된 공제 항목

공제 항목공제 금액적용 기준

결혼 세액공제 최대 100만 원 결혼한 부부 (한 번만 적용)
자녀 세액공제 첫째: 30만 원, 둘째: 35만 원, 셋째 이상: 30만 원씩 추가 만 18세 이하 자녀
출산·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월 20만 원 기업에서 지급하는 출산·보육수당
의료비 세액공제 의료비 15%, 산후조리원 200만 원 한도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소득자
주택자금 상환 이자 소득공제 최대 2,000만 원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상환액
월세액 세액공제 최대 1,000만 원 무주택 세대주, 성실사업자
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 최대 300만 원 주택청약저축 납입액
신용카드 소득공제 최대 100만 원 신용카드 사용 금액 증가분 10% 공제
기부금 공제 1천만 원 이하 15%, 1천만 원 초과 30%, 3천만 원 초과 40% 기부금 규모에 따라 공제율 상이
기타 공제 항목 연금보험료 최대 500만 원, 배우자 공제 150만 원, 부양가족 공제 150만 원 소득세 공제 한도, 부양가족 등

위 공제 금액을 통해 2025년 연말정산에서 받게 되는 혜택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. 각 항목별로 공제 한도를 확인하고, 본인의 상황에 맞게 공제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!

반응형

"); wcs_do();